본문 바로가기
잘키워보자/건강한 아이

[신생아 건강]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이란? 미숙아에게 흔한 폐질환과 치료 방법

by jjolangbok 2025. 4. 19.
728x90

안녕하세요. 쪼잘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에 대해서 소개드립니다. 저희 둘째는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으로 니큐에 8일 정도 입원을 했었어요. 갓 태어난 아기가 니큐에 입원하게되면 부모는 속이 문드러지지요. 선물같이 온 아가를 안지도, 보지도 못하는 그 마음은 어떤 것도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속상하고 마음 아픈 일입니다. 이 글을 급하게 검색해서 온 부모님들이 많지 않기를 바라며, 그리고 아기들이 건강하게 크길 바라며 이번 글을 준비했습니다.

신생아가 태어나자마자 호흡이 불안정하거나 빠르게 호흡하는 모습을 보면 부모 입장에서는 정말 깜짝 놀라게 되죠. 특히 미숙아로 태어난 아기에게는 이런 증상이 더 자주 나타날 수 있는데요. 이러한 증상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이란 무엇인지, 어떤 원인과 증상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치료 방법까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이란?

🫁 폐의 미성숙으로 인한 호흡 곤란 증상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은 신생아, 특히 미숙아에게서 흔하게 발생하는 호흡 문제입니다. 이 질환은 폐에서 공기를 유지하게 해주는 '폐표면활성제'가 부족해서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폐포가 잘 펴지지 않아 산소 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죠.

🎯 주로 37주 이전에 태어난 아기에게 발생해요

재태주수가 낮을수록 폐 발달이 미완성 상태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28~34주 사이에 태어난 아기에게 특히 흔하게 나타납니다.


주요 증상과 관찰 포인트

📌 이런 증상이 보인다면 의심해 보세요

  • ☑️ 빠르고 얕은 호흡
  • ☑️ 코가 벌렁거리고 가슴이 함몰됨
  • ☑️ 입술이나 손발이 파랗게 변하는 청색증
  • ☑️ 무호흡 상태 또는 숨 쉬는 간격이 불규칙함

출생 직후 또는 몇 시간 내에 이런 증상이 보인다면 즉시 의료진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발생 원인과 고위험군

🔍 미숙한 폐 발달이 가장 큰 원인입니다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은 폐포가 스스로 팽창하고 유지되는 기능이 부족해서 발생합니다. 이 기능은 '폐표면활성제'라는 물질이 담당하는데, 이 성분은 임신 후반기에 충분히 생성되기 때문에 미숙아는 이 물질이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 이런 경우 발병 확률이 높아집니다

  • ☑️ 37주 이전 조산
  • ☑️ 제왕절개로 자연 진통 없이 출산
  • ☑️ 산모가 당뇨병을 앓고 있는 경우
  • ☑️ 다태아(쌍둥이 이상) 임신

진단과 치료 방법

🧪 진단은 이렇게 진행됩니다

진단은 출생 직후 임상 증상과 함께 X-ray 검사, 혈액 내 산소·이산화탄소 수치 확인 등을 통해 이뤄집니다.

💊 치료는 호흡 보조와 폐표면활성제 투여가 중심이에요

  • ☑️ 산소 공급 또는 인공호흡기 사용
  • ☑️ 폐표면활성제(서팩턴트) 주입
  • ☑️ NICU(신생아 집중치료실) 내 관리

조기 치료가 시작되면 며칠 안에 상태가 호전되는 경우가 많고, 회복 후 후유증 없이 잘 자라는 경우도 많습니다.


부모가 알아야 할 체크포인트

👶 빠른 대처가 아기의 회복을 도와요

  • ☑️ 미숙아 출산 전 스테로이드 투여로 예방 가능
  • ☑️ 출산 직후 호흡 상태를 면밀히 관찰
  • ☑️ 의료진과 수시로 소통하며 상태 체크

정확한 진단과 빠른 대응이 아기의 회복에 가장 큰 열쇠가 됩니다.


결론: 빠른 대응이 가장 중요해요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은 미숙아에게서 흔히 발생하지만 오늘날의 의료기술로 인해 대부분 빠른 치료와 회복이 가능합니다. 출산 전후로 예방법과 초기 징후에 대해 미리 알고 있다면 더욱 안심하고 아기를 돌볼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의 원인, 증상, 치료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니큐에 있는 모든 아가들이 건강하길 바라며 이번 글을 마칩니다. 

 

728x90